환경2 도심과 겨울 속 녹색 공간, 서울 식물원 콘크리트 가득한 단조로운 도시의 풍경에서 벗어나 다채로운 식물을 바라보는 것 만으로도 눈도 마음도 즐거워집니다. 눈과 마음의 즐거움을 위해 식물원이 필요하기도 하지만, 아이들이나 전공생들의 교육과 학습을 위해, 생물다양성의 보존을 위해 식물원은 그 존재 의미를 지니기도 합니다. 이를 위해 몇몇 지자체에서는 시민들을 위해 대형 식물원을 만들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서울식물원, 세종식물원이 있습니다. 서울 식물원은 강서구 마곡동에 위치하며, 2019년 5월 1일에 개원했습니다. 초기엔 나무도 덜 자라고, 식물의 종류도 소박했지만, 해를 거듭하며 점차 풍성한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16일 서울식물원은 방문했습니다. 서울식물원은 크게 주제원과 식물원으로 공간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주제원은 주제 .. 2024. 2. 17.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하여 1 -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원인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에서 진도 7.3의 지진이 발생했다. 동일본 대지진이라고 불리는 최악의 자연재해로 인해 2만여명이 넘는 사상자 및 실종자가 발생했고, 재산상의 피해도 극심했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아니 앞으로도 상당히 오랜 기간 문제를 양산할 재난이 발생했는데, 바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다. 일본은 과거 전력 생산에서 원자력 발전 비율이 25%정도를 차지했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대로 낮아졌다가 최근 6%대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대 사회에선 전기가 의,식,주와 같이 없어서는 안될 필수재의 성격이 강하다. 안정적인 전력원의 비율을 극단적으로 줄인 것만으로도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일본 내부에 불러일으킨 충격이 상당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 2023. 7. 27. 이전 1 다음